2023. 5. 2. 10:40ㆍ제품 리뷰
┃제품소개
실내, 외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TVOC 등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점점 늘어가고 있다. 공기질 측정기 중 IOT로 연동하여 사용가능한 제품은 제한적이기도 하고 가격대도 높아서 굳이 구매를 해야 할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IOT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공기질 측정기 중 인지도 높은 제품은 Awair와 삼성 에어모니터 그리고 오늘 리뷰하는 Netatmo정도인 것 같다. 이 중에서 Netatmo는 출시된지 오래되긴 했지만 사용하는 사람들의 만족도가 괜찮은 제품이지만 국내에서 구매할 수 없어 직구로 구매를 해야 하는데 나는 Ebay에서 괜찮은 가격대 제품을 계속 주시하다가 $67.99에 배대지를 사용해서 구매를 했다. 가격이 엄청 저렴한 건 아니지만 실내 모듈과 실외 모듈이 세트로 되어 있어서 나름 괜찮은 가격이라고 생각한다.
Netatmo Weather Station은 실내 및 실외 기상 조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이다. 실내 모듈과 실외 모듈의 두 가지 주요 모듈로 구성된다.
실내 모듈은 집 안의 온도, 습도, CO2 수준 및 소음 수준을 측정한다. 공기질 및 소음공해 정보를 제공하여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환경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외 모듈은 집 밖의 온도, 습도 및 기압을 측정한다. 단 실외 모듈은 방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실외에 설치시 비를 막아 줄 수 있는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
두 모듈 모두 홈 Wi-Fi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데이터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Netatmo 앱으로 전송한다. 이 앱은 실시간 날씨 정보, 맞춤형 날씨 알림 및 해당 지역의 과거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Netatmo Weather Station은 Amazon Alexa, Apple HomeKit, Google Assistant 및 IFTTT를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호환된다. 이를 통해 장치를 스마트 홈 생태계에 통합하고 기상 조건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제품구성
- 실내 모듈 x 1
- 실외 모듈 x 1
- Micro usb Type Adapter x 1
- 사용자 설명서 x 1
┃제품 사용방법
App Store 또는 Google Play Store에서 Netatmo Weather 앱을 다운로드하고 계정을 만든다.
제공된 Micro usb Type Adapter를 사용하여 실내 모듈을 전원에 연결한다. 모듈의 LED 표시등이 녹색으로 바뀔 때까지 기다린다.
애플 유저의 경우 Homekit code를 인식시켜서 Homekit과 함께 연결한다.
앱의 지침에 따라 실내 모듈을 홈 Wi-Fi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실외기 모듈에 배터리를 장착하고 직사광선과 비로부터 보호되는 장소에 위치시킨다. 모듈은 실내 모듈에서 100미터 이내에 있어야 한다. 실내모듈과 실외 모듈 거리가 멀고 중간에 장애물(벽)이 많을 경우 실외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어 실외 모듈의 장소 선택에 신경을 써줘야 한다.
앱의 지침에 따라 실외 모듈을 실내 모듈에 연결한다. 연결되면 앱이 실시간 날씨 데이터를 표시하기 시작한다.
┃제품 활용
Netatmo 기상 관측소가 설정되어 사용할 준비가 되었다면, 앱에서 실시간 날씨 데이터를 보고 알림을 설정하고 과거 데이터에 액세스 할 수 있다. Amazon Alexa, Home Assistant, Apple HomeKit, Google Assistant 및 IFTTT와 같은 다양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Weather Station을 통합할 수도 있다.
┃아쉬운 점
Netatmo 제품에서 가장 큰 아쉬운점 은 제품 setup이다. 제품을 언박싱하고 기대에 차서 바로 앱을 설치하고 setup을 앱이 지시하는 대로 진행하는데 계속 연결이 되지 않아서 며칠 동안 헤맸다.
아직도 앱과의 연동이 된 게 신기할 정도다. 나는 Netatmo 실내 모듈을 초기화도 해보고, 집에 있는 아이패드로도 해보고 사용 중인 아이폰을 재부팅도 해보고, 앱도 재설치해봐도 도저히 연결이 안돼서 반 포기상태에서 집에 놀고 있는 갤럭시 노트를 사용해서 setup을 해봤는데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서 다시 초기화를 하고 아이폰에 설치했더니 신기하게도 설치가 되었다. 그리고 또 한가지 Home Assistant 통합 구성요소에도 추가를 했는데, 이 과정에서도 연동이 매끄럽게 되지 않았다. 아이폰의 Home Assistant 앱에서 통합구성요소를 추가하려고 하니까 계속 안되서 PC로 들어가서 추가했더니 정상적으로 추가가 되었다.
전반적으로 초기 셋업할 때 다소 불편하고 이해 안 가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디자인적인 부분이나 다른 공기질 측정기 금액대에 비해 Ebay를 활용해서 새 제품은 아니지만 상처하나 없는 개봉상품을 득템 한다면 구매해 볼 만한 제품이다.
'제품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품 사용 리뷰] 내돈내산 브레빌 커피 그라인더 "스마트 프로 BCG 820" (1) | 2023.05.30 |
---|---|
[제품 사용 리뷰] 4년만에 바꾼 내돈내산 자동 먼지 비움 기능 로봇청소기 "니봇 Q11" (1) | 2023.05.03 |
[사용 리뷰] 코스트코 플라스틱 카드 말고 디지털 멤버십카드를 써보자 (2) | 2023.04.20 |
[제품 사용리뷰] 깔끔하게 손을 씻어보자 자동 손세정기 "샤오미 4세대 자동손세정기(Simpleway)" (2) | 2023.04.19 |
[제품 사용 리뷰] 고민 끝에 선택한 내돈내산 비쎌 스팀청소기 (10) | 202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