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사용 리뷰] 전동 블라인드로 변신 / 마마바 전동 블라인드 설치기(내돈내산)

2023. 10. 20. 10:41제품 리뷰

반응형

마마바 블라인드 모터 2개를 2년 동안 아주 만족스럽게 사용 중이었다. 베란다 창이 커서 3개의 블라인드로 나눠져 있었는데 자주 사용하는 2개만 우선 설치해서 사용 중이었는데 추가로 1개를 더 구매하려다 재고가 없어서 계속 미뤄졌었다.

이번에 마마바 공구 이벤트와 28mm 중봉 호환되는 블라인드 모터가 새로 업그레이드되어서 출시되어서 바로 구매했다.

 

┃제품소개

  • 제품명 : 마마바 블라인드 무선모터 20
  • 소비전력 : 8W
  • 회전속도 : 28rpm
  • 회전토크 : 0.5Nm
  • 배터리용량 : 2,200mA
  • 입력전압 : DC 5V / 2A(C type)
  • 최대하중 : 2.5Kg

 

┃제품구성

  • 전동모터 본품 * 1 ea
  • 블라인드 커버 1 set
  • 커버 고정용 나사
  • 사용자 매뉴얼

 

┃제품 설치 및 초기 설정

*기존에 구매해서 사용 중인 리모컨 및 블라인드 앱 연동을 위한 Wifi hub(추가 구성품)이 이미 세팅되어 있는 상태임.

마마바 블라인드 모터를 최초 구매하는 사람은 리모컨 및 wifi hub를 별도로 구매해야 아래와 같이 설정이 가능함.

 

제품 설치 및 리모컨 연동

1.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블라인드의 양쪽 커버를 열고 블라인드 줄을 제거한다.

2. 블라인드 모터를 블라인드 봉에 넣고 커버를 닫는다.

3. 모터 리셋 버튼을 2초간 누른 뒤 비프음이 들리면 리모컨의 정지버튼을 3초간 누른다.

4. 모터가 위아래로 두 번 움직이고 비프음이 3번 울리면 리모컨과 모터가 연결 완료 된다.

 

앱연동

1. 앱스토어에서 마마바 앱을 설치한 후 회원가입하고 로그인을 한다.

2. 마마바 앱에서 새로운 방을 하나 추가 해준다.

3. 우측 상단에 있는 + 버튼을 누르고 제품 중 무선 모터를 선택한다.

 

4. 새로운 장치 추가에서 롤러 블라인드를 선택 후 하단의 새로운 장치 추가를 누른다.

5. Wifi hub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6. 리모컨 or 모터로 연결 중에 선택한다.

 

7. 모터 리셋으로 선택한 경우 아래와 같이 모터 리셋 버튼을 2초간 눌렀다 땐 후에 다음 버튼을 누른다.

 

상단 / 하단 리미트 설정

1. 연결된 블라인드를 선택해서 들어간 후 우측 상단의 점 3개를 눌러 설정 화면으로 들어간다.

 

2. 위치설정에서 제일 위로(상단 리미트)를 선택하고 경고 내용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3. 위, 아래, 멈춤 버튼을 이용해서 원하는 위치까지 올린 후 하단의 완료 버튼을 누르면 상단 리미트 설정이 완료되어 리모컨이나 앱에서 상단 버튼 한 번으로 설정된 상단 리미트 위치까지 올라가서 멈춘다.

 

 

4. 하단도 마찬가지로 제일 아래로(하단 리미트)를 선택해서 위에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제품 활용

1. 마마바 앱의 타이머 기능을 이용하면 원하는 시간에 블라인드를 내리거나 올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일 아침 7시에 블라인드를 올리고, 오후 6시에 블라인드를 내릴 수 있다.

이 기능은 Home Assistant나 SmartThings, Google Home, Apple Home을 이용하면 좀 더 디테일한 자동화도 가능하다.

 

2. AI 스피커를 활용해서 음성으로 언제든 블라인드 컨트롤이 가능하다.

- Google Home에서 마마바앱을 동기화한 후 Google home mini와 Nest hub와 같은 구글 AI 스피커를 이용해서 음성명령이 가능하다.

 

- SmartThings에서는 기기추가에서 제휴사 브랜드 검색에서 Connector라는 곳을 선택해서 마마바 앱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면 SmartThings에 블라인드가 추가되고 SmartThings에 등록된 Galaxy Home mini를 이용해서 음성 명령이 가능하다.

 

- Apple Home의 경우는 바로 연결이 되는 것이 아니고 Home Assistant에 먼저 등록해서 연동을 하거나, 간단히 음성명령만 사용하고자 한다면 마마바 앱 자동화를 통해 단축어 등록해서 시리로 음성 명령이 가능하다.

 

 

- Home Assistant의 경우 통합구성요소에서 Motion blind를 설치하여 마마바 앱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Home Assistant에서도 블라인드에 대한 정보 및 컨트롤이 가능하다.  Home Assistant를 이용하면 좋은 점이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다양한 자동화가 가능하다.

 

 

기존에 사용하던 모델보다 소음도 적고 충전 포트도 Micro 5핀에서 C type으로 변경되었음에도 가격이 4,000원만 오른 점은 만족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