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28. 14:41ㆍ소소한 팁 및 정보
스마트홈을 처음 접하게 되면서 가장 먼저 시도한게 욕실의 조명 스위치를 스마트 스위치로 변경한 것이다.
욕실 조명 및 환풍기 스위치를 IOT에 접목하여 자동화를 하는 목적에는 2가지가 있었다.
1. 온습도계를 활용한 환풍기 자동화
2. 스위치를 직접적으로 누르지 않고 들어가고, 나갈 때 자동으로 조명이 켜지는 자동화(다음 게시물에서 추가 공유 예정)
1번의 온습도계를 활용한 환풍기 자동화는 스마트 스위치로 바꾸면서 함께 구매한 Aqara 온습도계를 욕실에 부착하여 습도에 따른 환풍기 자동화를 구현 했다.
욕실 환풍기 자동화를 위한 준비사항
1. NAS + Sonoff zigbee 3.0 dongle
2. Aqara 스마트 조명 스위치 2구(중성선 x) - zigbee
3. Aqara 온습도센서 - zigbee
4. 욕실 조명 잔광 콘덴서(스마트 스위치 설치 후 깜빡임이 있을 경우만 해당)
자동화 과정
1. 욕실 조명 스위치를 기존에 아날로그 스위치에서 Aqara 스마트 조명 스위치 2구(중성선 x)로 교체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행한다.(스위치 교체 관련 사항은 아래 글을 참고)
[사용 리뷰]아카라 스마트 조명 스위치 2구(중성선 x) (tistory.com)
2. 온습도계는 아카라 스마트 스토어를 통해 구매가 가능한 아카라 제품으로 구매하여 욕실 수납장에 부착한 후 HA(Home Assistant)에 페어링 했다.
참고로 온습도계는 리포트 주기가 더 많은 소노프 온습도계도 있긴 하지만, 알리를 통한 구매를 해야해서 우선 급한대로 국내에서 편하게 구매 가능한 아카라 제품을 선택 했다.
3. 스마트 조명 스위치를 설치하고 난 뒤 욕실 조명이 깜빡거리는 현상이 있어 다운라이트 2개에 각각 잔광콘덴서를 구매하여 설치해 주었다.
4. 하드웨어적인 설치는 이것으로 끝이고, 이제 HA를 활용하여 자동화를 구성한다.
5. 환풍기를 켜는 자동화는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켜는 습도기준은 각자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니, 원하는 값으로 설정 하면 된다.
평일 07시 ~ 22시사이에 욕실의 습도가 60℃ 초과 할 경우 환풍기 스위치를 켜는 자동화다.
6. 환풍기를 끄는 자동화는 아래와 같다.
평일 07시 ~ 22시사이에 욕실의 습도가 60℃ 미만 일 경우 환풍기 스위치를 끄는 자동화다.
욕실 환풍기 자동화를 하고 나서 샤워를 할 경우 샤워를 시작 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부터 환풍기가 자동으로 켜지게 된다. 수동으로 환풍기를 켰다껐다 하면서 가끔 켜져있는 것을 까먹고 장시간 외출하기도 하고, 정확한 욕실 습도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환풍기를 켜고 끄는 번거로움 대신 이 자동화로 나름의 삶의 질이 올라 갈 수 있다.
나는 HA가 구축되어 있어 HA를 사용하여 자동화를 구축 했지만, 스마트 스위치와 온습도계만 구축이 되어 있다면 애플 유저의 경우 Homekit을 활용하여 Homekit에 있는 자동화로 간단하게 자동화를 구축할 수 있다.그 외에도 아카라 앱, 스마트싱스등 다양한 스마트 IOT 플랫폼을 활용해서도 구축할 수 있는 생각보다 간단하면서 생활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자동화다.
그럼 이만.
'소소한 팁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워치 관련 정보] WatchOS 10 업데이트 정보 및 후기 (2) | 2023.09.20 |
---|---|
[아이폰 관련 정보] IOS 17 업데이트 정보 및 후기 (0) | 2023.09.20 |
[소소한 팁] 무료로 티빙에서 분데스리가 생중계 보는 방법! (0) | 2023.09.18 |
[IT 사용리뷰] 애플페이(Apple Pay) 사용 방법 및 작은 팁 (15) | 2023.03.21 |
[사용 리뷰]링크시스(Linksys) 앱 사용 리뷰 (0) | 2023.02.24 |